2025년 4대보험 요율 월급별 예상 금액 5가지 예시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banner-280]

연봉 계약서를 쓰기 전, 또는 첫 월급날을 기다리며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바로 이겁니다.

“내 월급에서 대체 얼마나 빠지는 거야?”
“명세서에 있는 4대보험은 뭔데 이렇게 많이 떼가요?”
“실수령액 기준으로 얼마쯤 받을 수 있지?”

2025년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 4대보험 요율이 일부 조정되면서
월급 공제액도 약간씩 달라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월급 구간별로 예상 4대보험 공제액을 5가지 케이스로 정리하고,
각 보험이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도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1. 4대보험이란? 월급에서 왜 떼가는 걸까?

4대보험은 국가가 운영하는 의무적 사회보장 제도로,
직장인이면 누구나 자동 가입되고, 매월 급여에서 일정 금액이 공제됩니다.

▶️ 4대보험 구성

보험 명목적공제 대상
국민연금노후 소득 보장근로자·사업자 각각 부담
건강보험병원 진료·약값 지원근로자·사업자 각각 부담
장기요양보험노인 돌봄 서비스 재원건강보험과 함께 부과
고용보험실업급여, 고용안정 사업근로자·사업자 각각 부담
산재보험업무상 재해 보상전액 사업주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 포인트: 실수령액에서 빠지는 건 총 4개 →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은 회사만 내는 항목이니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2. 2025년 4대보험 요율 정리

2025년 적용 요율(근로자 본인 부담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요율(%)비고
국민연금4.5%총 9% 중 절반
건강보험3.545%총 7.09% 중 절반
장기요양보험건강보험료의 12.83%건강보험료에 덧붙여 부과
고용보험0.9%실업급여 중심
산재보험0%전액 사업주 부담

총 공제율 약 9.4~9.5% 내외
장기요양은 정확히 건강보험료의 12.83%로 계산되므로,
실제 공제금액은 건강보험료가 많아질수록 늘어납니다.


3. 월급 5가지 구간별 공제액 & 실수령액 예시

💰 월급 200만 원 (세전 기준)

항목금액(원)
국민연금 (4.5%)90,000
건강보험 (3.545%)70,900
장기요양보험 (12.83% of 건강보험)9,100
고용보험 (0.9%)18,000
총 공제액188,000원
실수령액1,812,000원

💰 월급 250만 원

항목금액(원)
국민연금112,500
건강보험88,625
장기요양보험11,370
고용보험22,500
총 공제액235,000원 내외
실수령액2,265,000원 전후

💰 월급 300만 원

항목금액(원)
국민연금135,000
건강보험106,350
장기요양보험13,640
고용보험27,000
총 공제액282,000원 전후
실수령액2,718,000원

💰 월급 350만 원

항목금액(원)
국민연금157,500
건강보험123,975
장기요양보험15,900
고용보험31,500
총 공제액329,000원 전후
실수령액3,171,000원

💰 월급 400만 원

항목금액(원)
국민연금180,000
건강보험141,800
장기요양보험18,200
고용보험36,000
총 공제액376,000원 전후
실수령액3,624,000원

4. 공제 흐름을 시각적으로 요약

세전 월급4대보험 총액실수령액 (예상)
200만 원188,000원약 1,812,000원
250만 원235,000원약 2,265,000원
300만 원282,000원약 2,718,000원
350만 원329,000원약 3,171,000원
400만 원376,000원약 3,624,000원

✅ 공제액은 소득에 비례해 올라가고,
소득이 높을수록 장기요양·건강보험 부담도 함께 증가합니다.


5. 4대보험별 간단 요약

▶️ 국민연금

  • 노후 소득 보장용 보험

  • 60세까지 납부, 65세부터 연금 수령

  • 월급의 9% (근로자 4.5%, 사업자 4.5%)

▶️ 건강보험

  • 병원 진료·약값 할인 목적

  • 치과, 한방 포함

  • 보험급여의 30%만 본인부담

▶️ 장기요양보험

  • 노인 요양시설, 방문간병, 요양병원 등 지원

  • 65세 이상 수급자 대상

  • 청년·직장인은 납부만 하고, 향후 혜택받는 구조

▶️ 고용보험

  • 실직 시 실업급여 수령 자격

  • 육아휴직, 직업훈련 지원도 포함

  • 근속기간, 퇴사 사유에 따라 수급 여부 달라짐


6. 사회초년생, 이직자, 단기 근무자에게 전하는 팁

✅ 국민연금은 퇴사 후 지역가입 or 납부 유예 가능
✅ 고용보험은 3개월 이상 근무 + 비자발적 퇴사 시 실업급여 대상
✅ 4대보험 모두 소득 신고 기준이므로 수당·성과급 포함 여부 확인 필요
✅ 첫 직장에서 4대보험 미가입 요구하면 불법일 수 있음
✅ 단시간 알바(1주 15시간 미만)는 가입 제외 대상


7. 자주 묻는 질문 (Q&A)

Q1. 월급 실수령액은 언제 정확하게 알 수 있나요?

급여명세서 수령일에 확인 가능하며,
기본급, 수당, 공제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Q2. 내가 낸 4대보험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insure.or.kr)에서
통합 조회 및 증명서 발급 가능합니다.


Q3. 4대보험 안 내고 알바만 하면 어떻게 되나요?

퇴사 후 실업급여, 국민연금, 건강보험 혜택이 전혀 없음
장기적으로 불리하고, 가입 거부 시 사업장 처벌 대상


Q4. 연봉이 올라가면 바로 보험료도 오르나요?

보통 연봉 인상은 익월부터 적용되며,
4대보험료도 월별로 함께 자동 조정됩니다.


8. 함께 보면 좋은 추천 사이트


9. 마무리하며 – ‘실수령액 기준’으로 연봉을 보세요

연봉 3,000만 원 = 실수령액 약 2,500~2,600만 원
4대보험은 단순히 “떼가는 돈”이 아니라,
미래의 나를 위한 사회안전망입니다.

✅ 계약서에 사인하기 전에,
✅ 연봉 협상할 때,
✅ 이직을 고민할 때
4대보험 공제 후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먼저 체크하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 블로그 검색

이미지alt태그 입력
이미지alt태그 입력